seaking110 님의 블로그
AWS 특강 본문
AWS
- 특징
- 유연성 : 필요한 만큼만 사용, 필요 없으면 끄면 됨
- 확장성 : 트래픽이 늘어나면 자동으로 확장 가능
- 비용 절감 : 초기 서버 비용 없이 시작 가능 - 프리티어
- 글로벌 인프라 : 전 세계 여러 리전에 인프라 구축 가능
- EC2
- 가상 서버를 제공하는서비스
- 흔히 말하는 서버를 AWS에서 제공
- 핵심 개념
- CPU, 메모리, 스토리지, 네트워크 등을 가진 가상의 컴퓨터
- 리눅스/ 원도우 우분투 선택 가능
- SSH로 직접 접속해 앱 설치 가능
- 특징
- 원하는 인스턴스 타입 선택 가능
- 스냅샷으로 백업 및 복원 가능
- Auto Scaling Load Balancing과 연계 가능
- ECS
- Docker 컨테이너 기반 애플리케이션을실행하는 서비스
- 핵심 기능
- Docker 이미지를 실행하는 환경
- 특징
- 컨테이너 기반으로 경량화된 배포 가능
- 자동 스케일링 헬스체크 가능
- CI/CD 파이프라인 연동에 최적화
- S3
- 이미지나 파일을 저장하는 범용 버킷
- 파일 저장소 서비스 - 사진, 동영상, 문서 등을 저장할 때 사용
- 핵심 개념
- 객체 스토리지
- 버킷 -> key 구조로 파일 저장
- 가상 하드 디스크라고 보면됨
- 특징
- 무제한 용량, 내구성 99.999%
- 정적 웹사이트 호스팅 가능
- IAM 정책으로 접근 제어 가능
- RDS
- 돈이 가장 많이 나감
-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
- 핵심 개념
- 관리형 DB 인스턴스 제공
- 특징
- EC2보다 관리할 부분 적음
- 보안 그룹으로 접근 제한
- CloudWatch로 모니터링 가능
- 보안 그룹
- 방화벽 역할을 하는 가상 인프라
- 인스턴스에 대한 접근을 세밀하게 제어
- 상태 저장형 즉 들어오는 트래픽에 대한 규칙이 있으면 나가는 트래픽은 자동으로 허용 반대도 동일
- 특징
- 허용만 가능 차단은 불가능
- 상태 저장형 (응답은 자동 허용)
- 대상 그룹
- 로드밸런서가 트래픽을 분산시킬 대상 그룹
- 핵심 개념
- EC2, ECS, Lambda를 타겟으로 등록 가능
- 헬스 체크 경로 설정 가능
- 특징
- 여러 EC2 인스턴스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음
- 로드 밸런서 (ALB/NLB/CLB)
- 트래픽을 여러 서버로 분산하는 서비스
- 핵심 개념
- ALB (애플리케이션 계층)
- NLB (네트워크 계층)
- CLB (고전적인 로드밸런서)
- 리스너 : 로드 밸런서가 트래픽을 수신할 포트와 프로토콜 지정, 어떤 요청을 어떤 타겟 그룹으로 보낼지 규칙을 정의
- 특징
- ALB는 경로 기반 라우팅 지원
- Route 53
- DNS 서비스 도메인 -> IP 주소 매핑
- AWS Lambda
- 서버 없이 코드를 실행하는 서버리스 컴퓨팅 서비스
- 이벤트 기반으로 작동
- 필요할 때만 실행, 실행한 만큼 비용 부과
- 특징
- 서버 관리 불필요 : 인프라 관리 없이 코드를 배포하고 실행
- 이벤트 기반 실행 : API Gateway, S3, DynamoDB 등과 연동 가능
- 짧은 작업에 최적화
- 자동 스케일링
- 예시
- S3에 이미지 업로드 -> Lambda가 자동으로 리사이징
'Today I Learne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캐시 (0) | 2025.03.26 |
---|---|
Docker & CICD (0) | 2025.03.26 |
plus 주차 트러블 슈팅 (0) | 2025.03.21 |
plus 주차 개인 과제 (0) | 2025.03.21 |
AWS 시작하기! (0) | 2025.03.20 |